드디어 추석이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참 마음이 안타깝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가야할지 말아야할지 걱정스럽습니다.
그래도 집에서 제사를 내는 분들도 계실꺼라고 생각합니다.
>추석 지방 쓰는법은 꼭 알기 바로가기<
차례상 및 제사상을 차리게 되면 지방을 쓰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자주 쓰는 것도 아니지만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방 쓰는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지방 쓰는법 이란?
제사를 지낼 때 사용을 합니다.
우리 조상님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신주 대신 이용하고 있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고
제사가 끝나게 되면 태워버리는 것 입니다.
내용을 보면 제사를 하는 사람과 친속관계 입니다.
조상의 관식과 시호를 나태나는 의미 입니다.
관식은 여성의 봉호, 시호는 여성의 성씨가 되겠습니다.
2. 지방 쓰는법은 어떻게 하나요?
제사상을 올리고 지방을 쓸때는 대부분 한문으로
써야한다는 생각일 많을 수 있씁니다.
그리고 종이 규격에 맞춰서 글을 써야됩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은 하늘나라로 가신 고인의 제사를 모시는 기준입니다.
그래서 모시는 사람 기준으로 작성을 해야합니다.
집에서 제사를 지내기 때문에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직접 합니다.
가로 6센치, 세로 22센치로 된 직사각형으로 된 종이입니다.
한지, 창호지를 꼭 사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A4용지를 잘라서 사용을 하셔도 무방합니다.
예를 들어 종이가 2장이 있다고 가정을 합니다.
고인이 되신 분이 남자라면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작성을합니다.
3. 제사 지방 쓰는 법
첫번째 아버지 지방
아버지 지방일 경우에는 맨밑에서부터
현고 학생 부근 신위 로 읽게 됩니다.
현고는 모시게된 조상
학생은 조상의 지위
부군은 조상의 이름
신위는 조상의 자리
두번째 어머니 지방
아버지 지방의 반대로 어머니는 위에서 아래로 읽습니다.
현비 유인[oo] 신위 로 읽습니다.
유인 옆에 있는 공백은 고인 본관을 적습니다.
예를 들면 경주 김 이라고 한다면 적으시면 되겠습니다.
세번째 할아버지 할머니 지방
할머니 할아버지의 제사를 지냅니다.
제사를 지내게 된다면 각가의 현고와 현비사이에
조(祖)를 작성하고 증조라면 증조 라고 작성하시면 됩니다.
예) 현고조 / 현조비
네번째 그 밖에
남편은 현벽
아내는 망실
형은 현형
동생은 망재
라고 작성을 하시면 됩니다.
고인과의 관계 다음에는 직위를 적게 됩니다.,
관직이 있으면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없다면 남성은 학생 여성은 유인을 적으면 되겠습니다.
고인이 남자라면 부군으로 통일합니다.
여자라면 본관과 성씨를 작성합니다.
이것을 구분하지 않으며 남자에게도 본관과 성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틀린 부분이므로 주의 바랍니다.
마지막으로는 신위 라고 작성하면 마무리가 됩니다.
4. 지방을 쓸때 주의사항
지방을 쓸때는 돌아가신 분의 사람 기준으로 작성을 해야지 좋습니다.
돌아가신 장자 또는 장손의 기준이 되겠습니다.
지방을 다시 재사용하면 안됩니다.
지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돌아가신 분과 함께 같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안에 우환도 들일 수 있습니다.
돌아가신 분의 제사를 지낼때 1명일 경우 이렇게 합니다.
가운데에 작성을 합니다.
2명이라면 남자가 왼쪽 여자가 오른쪽을 작성하면 되겠습니다.
어려운 한문으로 사용을 한다는 것보다는 한글로 작성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지방 쓰는법이 너무 어렵다라고 느끼신다면 참고할 정도로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5. 지방 쓰는법 꿀팁
여러분들은 차례상에 음식을 놓는 순서와 방법을 아시나요?
1열 부터 5열까지 차리게 됩니다.
각각의 열마다 음식 순서 방향이 다릅니다.
1열은 숟가락 대접 잔반 떡국과 함께 기본적인 식사가 차려집니다.
이 때는 신위 수대로 올리는 걸 명심하세요.
2열은 어동육서의 사자성거가 붙습니다.
생선은 동쪽으로 고기는 서쪽으로 놓게 됩니다.
생선을 보면 두동미서로 불립니다.
머리는 동쪽 꼬리 서쪽으로 향합니다.
3열은 두부와 소고기로 국을 올리게 됩니다.
4열은 좌포우혜로써 나물반찬에 올라가게 됩니다.
왼쪽 끝은 포와 오른쪽 끝에는 식혜가 놓이게 됩니다.
마지막 5열은 조율시이로 부릅니다.
왼쪽 끝 부터 대추 밤 곧감으로 놓이게 됩니다.
홍동백서라고 해서 붉은 과일은 동쪽으로 향합니다.
하얀 과일은 서쪽에 향합니다.
6. 차례상 주의사항
복숭아는 귀신을 쫓아낸다고 합니다.
치로 끝나는 생선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제사상에는 이러한 것들이 풍습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관련글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2021년 7월 26일에 코로나19 피해지원 인한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에 대한 3가지 시행계획이 나왔다. 2차로 추가경정예산이 패스가 됬다. 신청이나 대상 일반업종 등에 대한 기준도 알아보도록 하
taehwan2.effort7633.com
추석 선물세트 1위부터 10위까지
추석하면 가장 떠오르는 추석 선물세트가 떠오릅니다. 그리고 추석을 보시면 설날과 같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 중 하나 입니다. 보통 명절때에는 3일 휴무인 법정 공휴일이 지정이 되있습
taehwan2.effort7633.com
추석 기차표 예매 꿀팁
덥고 습한 여름이 드디어 지나가고 이제 추석이 다가옵니다. 코로나로 인해 뭔가 명절인 느낌이 점점 사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명절때에는 가족들과 같이 모여야 되는데 코로나가 방해
taehwan2.effort7633.com